2025년 2월 21일 금요일

휴머노이드 로봇 층간소음 생각

휴머노이드 로봇이 가정에도 적용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나온다. 자율주행은 벌써 실행되어야 하고 달나라 여행도 가능할 것이라 예상했지만 언제나 계획보다는…

기대보다 늦겠지만 휴머노이드 로봇이 우리 온돌 아파트 환경에 적응할까? 층간 소음으로 난리 날 듯하다. 로봇이 걷는다는 게 얼마나 정밀한데 소음까지 고려하거나 발 밑창이 물렁물렁한 것으로 부드럽게 구현해 낼 수 있을까? 단독주택은 가능하겠지만…

미국 콘도미니엄은 신발, 카펫 문화이니 층간 소음이 덜하지 않을까 생각되지만 로봇이? 호텔도 힘들 듯한데 우리의 온돌 아파트 문화에 적응할 수 있을까?

강남 아파트에서 로봇 수요가 먼저 생기기 힘들 듯하다. 로봇 기능이 어디까지 발전할지 모르겠지만 이를 대비한 아파트를 짓는 건 아직일 듯하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대비한 설계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너무 나간 듯하지만, 인간의 해결 능력은 어디까지 일지 모르겠다. AI가 해결해 주려나?

2025년 2월 20일 목요일

환차익 과세 - 달러선물 사지마라..

환차익은 비과세라 알고 있다.

그러나 과세되는 환차익도 있다.

해외주식 직접투자, 이자-달러 예금 (발행어음, rp, 정기예금, 외화채권 포함) - 환차익 과세는 어느 정도 이해된다.

하지만 외화에 그대로 노출되는 달러선물 - KIWOOM, TIGER, KODEX….- "과표기준가"로 과세된다.

과거 기사에서 달러에 투자하는 방법 중 환전은 환수수료가 붙으니(그때는 원화로 미국 주식을 직접 투자하는 증권사에 서비스가 없었다.) 달러선물을 추천하였다. 기자는 세금을 간과한 것이다. 소개해 준 증권사 직원은 직원이니까.

살만한 해외주식은 보이지 않아 환수수료를 아끼고 환차익 세금이 없다 생각하여 달러선물을 샀는데 지금 팔고 보니 "과표기준가"로 매매차익에 15.4%의 세금이 붙고 "금융종합과세"에 합산되는 세금이 있었다.

왜 이런 상품을 만들고 매매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환수수료 VS 매매수수료를 계산해 보면 별 차이 없고 15.4%보다는 적을 것인데 무슨 이득이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루려는 목적이나 장점이 무엇인지 아시는 분은 알려주면 좋겠다.) 지금도 주식 창을 보면 매매가 이뤄지는데 뭐지?

달러 MMF는 법인용만 있어서 보지는 못했지만, 이것도 마찬가지일 듯...(나중에 알게 되면 업데이트 예정)

환차익 비과세를 포기하는 것 중 UH 펀드도 있는데 해외주식도 양도세로 세금을 내니 어느 정도 감당해야 할 몫을 따져보자.

 

참고로 국내 주식 ETF는 모두 비과세인 줄 알았는데 상품에 따라 (인버스, 레버리지 등) 세금이 발생하더라.…. 바로 "과표기준가" 이외 증분은 세금이다. "세금 = MIN(매매차익, 과표기준가 증분)" 일명 "보유기간과세형" 염두에 두고 투자하자.


2024년 10월 29일 화요일

극성 근성 열성

차이가 무엇일까?

말장난?

주관적인 것은 분류가 가능 한가?

상황과 남을 보는 상황에 따라 달라 지는 것을 정의 있을까?

애매한 정의 해드립니다정도의 꽁트일까?


2023년 11월 21일 화요일

 이창용은 좀비기업이 계속 가는게 걱정이라 말하며 정작 금리는 동결하네. 뭐지?

내가 요즘 글을 자주 쓰는 이유는. 뭔가를 남기려는 이유는.. 뭐다? 



이마트에 단타를 치고 나가려는게 우습지만 너무 내려갔다. 쿠팡에 주도권이 넘어기서라는데 쿠팡. 좋다.

로켓배송 음식배달 축구중계를 포함한 방송도 잘한다. 한쪽이 죽자고 달려드는데 같이 붙으면 자존심은 회복 되겠지만 내상 회복에 많은 자원이 들것이고 계속 놔두자니 주도권을 빼았길듯 하여 고민이 많겠다.

크팡은 될대대로 되라 하는 느낌이고 나는 이거 하는데 붙자 이것도 하는데 그냥 놔둘껴? 그럼 이것도 해야지? 이런 느낌임. 씨너지가 나는 사업들인가?모르겠네.. 이러다 오프라인도 진출? 아마존도 손놓기 시작했는데..cj랑도 삐걱거라고 

소비자 입장에서는 잘버텨주기를.. 사장놀이 회장놀이하나? 머스크처럼. 배존스도 다하던가?

2023년 11월 13일 월요일

대범함은 좋은 것 인가?

 상대방의 대법함을 바란는 것은 내가 쪼잔한 것인가?

무심함도 대범함인가?

협상에서 상대방에게 내의 대범함을 보여 상대방도 대범한 양보를 하기 떄문이 아닐까 생각됨.

둘다 쪼잔하면 시간, 노력, 공간, 금액 등을 손해보고 끝나는 경우가 많아서.

이기적유전자에서도 무한한 가치를 갖고 있는 것은 없다고 하지 않던가? 나도 공감.


2023년 11월 2일 목요일

펀드 클래스 A C 수익률 비교 계산 표

 

펀드 CLASS에 따른 설명을 하면

A: 선취, 장기유리

C: 단기유리

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의심 병이 돋았다.


근거는 원금에서 선취 수수료(1회성, 원금)를 때가면 그 수수료를 제한 금액을 운용하여 이익을 취하는 것이니 매년 보수(매년, 평가금)를 때가는 것이랑 같은 거 아닌가? 판매사에서 수수료로 펀드투자를 같은 펀드를 투자해서 수익을 얻는 것이니 말이다.

감독기관에서 선취수수료 비율을 감시-3년 내 환매 시 A클레스가 더 손해를 보아선 안되는 선취수수료이어야 한다-하는 기준이 있는지는 모르지만 선취 수수료를 많이 받으면 오히려 손해가 될 텐데 말이다.

수학적 지식이 부족하니 엑셀로 노가다 해보았다.

총보수 class A:1.16% / C: 1.33%  <23launching v모펀드의 실예

수수료를 바꿔 수익률10%,5%(손실도)의 경우로 비교해봄

 


결론: 선취수수료의 크기에 따라 A/C 역전의 기간이 차이가 난다.

 

고려 외:

총 보수도 따져보아야 하나 큰 차이 없을듯하다.

수익률 차이에 의한 차이도 크게 없을 듯하다.

 

간단한 의문에 의한 자료로 검색하기 힘들어 노가다 했음.

 

(표를 보기 좋게 손질하기에는 귀찮아서출처를 남기더라도 얼마나 유용한 참고 자료가 될지 몰라..부끄부끄)

잘못된 부분 댓 글에 지적 바람!!

감사합니다.

2023년 7월 25일 화요일

주식시장에서 초심자의 행운을 접할 가능성이 크다.

 

주식시장에 뛰어 드는 경우 주식시장이 활황일 때 처음 뛰어들 가능성이 크다.

그 동안 주식에 관심도 없다 연일 언론과 주변에서 주식으로 돈 벌었다는 이야기를 하니 설마 주가가로 투신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와중에 시장에 새로 참여하는 사람은 야수의 심장을 가진 사람일 테니- 많이 들은 종목을 매수할 가능성이 높다.

상승장에 편승할 가능 성이 높으니 수익을 얻고 자주 지켜보다 어느 정도 수익이 나오거나 하락하면 매도할 것이고 주위에 알릴 가능성이 크다.

이렇게 주식투자의 자신감을 갖고 남의 야기를 듣고 다른 종목을 투자하는 패턴인 경우가 많다. 투자금은 오르고 종목 수를 늘리는 건 덤이다. 결론은 여러분 계좌를 보면 된다.

어떻게 잘 아냐고? 내 이야기다.

 

 

사족

대충: 내 의견일 뿐 책임 없음 / 다른 분야의 초심자의 행운은 다름 형태 / 야수의 심장 소유자는 성공과 실패할 가능성 모두 가지고 있음 / 피터린치의 마젤란펀드는 13년간 2,703%의 수익을 올렸지만 펀드투자자 반만 수익을 얻었고 평균1년의 펀드 투자 기간을 가졌다. = 펀드 환매 말리는 단골 멘트